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오늘 방문수
어제 방문수
누적 방문수
무역 아이템 검색

최근 7일 통계

최근 댓글

2019/0133

비경제 활동 인구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의 의미와 종류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비경제 활동 인구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비경제 활동 인구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이란 15세 이상 인구에서 일할 능력은 있지만 일할 의사가 없는 사람들을 말한다. 비경제 활동 인구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상세 설명15세 이상 인구에서 일할 능력은 있지만 일할 의사가 없는 사람들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5세 이상이 되면 일할 능력을 갖춘 것으로 보아 15세 이상 인구를 생산 가능 인구 또는 노동 가능 인구로 분류하고 있다. 15세 이상 인구는 경제 활동 인구와 비경제 활동 인구로 구분된다. 경제 활동 인구는 일할 의사와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서 취업 상태에 따.. 2019. 1. 31.
북한이탈주민(북한탈북민 / 탈북자 / 새터민)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북한이탈주민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북한이탈주민이란 북한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사람으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사람을 말한다 북한이탈주민 상세 설명북한이탈주민'은 북한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사람으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사람(「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제2조 제1호)을 말하며, 2005년부터 사용했던 새터민이라는 용어가 모든 탈북민을 온전히 포괄하지 못한다는 비판에 따라 2008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북한이탈주민은 2017년 12월 기준으로 31,339명에 이르고 있으며(통일부, 2018),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하여 초기정.. 2019. 1. 31.
법정근로시간 (Legal working time)이란?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법정근로시간 (Legal working time)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법정근로시간 (Legal working time)이란 근로기준법에 의해 주 단위 및 1일 단위로 정해져 있는 최저 기준근로시간을 말한다. 법정근로시간 (Legal working time) 상세 설명근로기준법에 의해 주 단위 및 1일 단위로 정해져 있는 최저 기준근로시간을 말한다. 예를 들어, 1주간 휴게시간을 제하고 40(제44조)시간, 1일 휴게시간을 제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제49조)는 것이다. ‘1주간’이란 7일을 의미하며 7일은 취업규칙 등에서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특정일로부터 7일간을 말한다. ‘1일’이란 통상적으로 0시부터 24시까지를 의미한다. 그러나 계속근로가 2일에 걸친 경우에는 근로자보호를.. 2019. 1. 19.
단카이세대 (団塊の世代)의 의미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단카이세대 (団塊の世代)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단카이세대 (団塊の世代)이란 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6년~1949년에 태어난 일본의 베이비붐 세대. 단카이세대 (団塊の世代) 상세 설명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6년~1949년에 태어난 일본의 베이비붐 세대. 일본 경제기획청 장관을 지낸 경제평론가 사카이야 다이치의 소설 ‘단카이의 세대(1976년)’에 처음 등장해 인구사회학적 용어로 정착되었다. ※ 단카이세대 (団塊の世代) 관련 뉴스https://www.google.com/search?q=단카이세대&newwindow=1&tbm=nws&source=lnms&sa=X&ved=0ahUKEwiNq_mUn9bfAhXVEnAKHaVsACYQ_AUICygC&biw=1920&bih=938&dpr=1 .. 2019. 1. 18.
니트족 뜻 (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니트족 (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니트족 (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이란 직장이 없는데도 취업이나 진학할 생각을 하지 않으면서 직업훈련조차 받지 않는 젊은층을 일컫는다. 니트족 (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상세 설명직장이 없는데도 취업이나 진학할 생각을 하지 않으면서 직업훈련조차 받지 않는 젊은층을 일컫는다. 구조적 실업자와 달리 일자리를 구할 의욕이 없기 때문에 ‘청년 무업자(無業者)’로도 불린다. 예를 들면, 대학 졸업 후 갓 들어간 회사를 뚜렷한 계획없이 그만두고, 대학원에 진학했지만.. 2019. 1. 17.
노동집약도 (노동집약형 산업)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노동집약도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노동집약도이란 한 단위의 생산물을 산출하는 데 투입된 생산요소 중에서 노동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노동집약도 상세 설명 한 단위의 생산물을 산출하는 데 투입된 생산요소 중에서 노동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산업 특성상 노동의 비율이 높은 산업을 노동집약(형) 산업이라고 한다. 기계화 또는 자동화가 높은 산업에서는 노동집약도가 낮고, 기계화로 인한 규격 ·표준품의 대량생산으로 산업구조의 고도화 또는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다. 노동이 집약도가 높은 경우 열심히 일을 한 것에 비해서 수입 등이 적을 수 있다. 수요가 많더라도 인건비만 높아질 수도 있다. ※ 노동집약도 관련 뉴스 https://www.google.com/search?q=노동집약도&neww.. 2019. 1. 16.
노동쟁의조정 |조정(Mediation)과 중재(Arbitration)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노동쟁의조정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노동쟁의조정이란 노동쟁의에 중립적이고 공정한 제3자가 조정위원이 되어 노사간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여 타협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필요시 조정안을 제시하여 조속한 타결이 이루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노동쟁의조정 상세 설명노동쟁의에 중립적이고 공정한 제3자가 조정위원이 되어 노사간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여 타협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필요시 조정안을 제시하여 조속한 타결이 이루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즉, 노사간의 단체교섭상 주장의 불일치를 해결하도록 도와주는 절차이다. 조정은 그 방식에 따라 조정(Mediation)과 중재(Arbitration)로 구분된다. 1) 조정(Mediation) : 조정은 제3자가 당.. 2019. 1. 15.
노동쟁의 (Labor Dispute)란?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노동쟁의 (Labor Dispute)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노동쟁의 (Labor Dispute)이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르면 노동조합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체간에 임금ㆍ근로시간ㆍ복지ㆍ해고 기타 대우 등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주장의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한 분쟁상태를 말한다. 노동쟁의 (Labor Dispute) 상세 설명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르면 ‘노동쟁의’라 함은 노동조합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체간에 임금ㆍ근로시간ㆍ복지ㆍ해고 기타 대우 등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주장의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한 분쟁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주장의 불일치라 함은 당사자간에 합의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여도 더 이상 자주적 교섭에 의한 합의의 여지가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관계 당사자의 일방.. 2019. 1. 14.
노동소득분배율 (Labor Income Share Ratio) 이란?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노동소득분배율 (Labor Income Share Ratio)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노동소득분배율 (Labor Income Share Ratio)이란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피용자 보수)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노동소득분배율 (Labor Income Share Ratio) 상세 설명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피용자 보수)이 차지하는 비율. 일반적으로 한 국가에서 국민들이 생산활동에 기여한 대가인 소득은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를 제공한 경제주체에게 분배된다. 여기서 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가계에 분배되는 급여를 피용자 보수, 생산활동을 주관한 생산주체의 몫을 영업잉여라고 한다. 노동소득분배율은 피용자 보수를 좁은 의미의 국민소득인 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의 합계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을 백분율로 나.. 2019. 1. 13.
노동생산성지수 (Labor Productivity Index)란?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노동생산성지수 (Labor Productivity Index)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노동생산성지수 (Labor Productivity Index)이란 노동생산성을 측정하는 지표를 말한다 노동생산성지수 (Labor Productivity Index) 상세 설명노동생산성을 측정하는 지표.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생산성본부가 분기마다 월별·분기별 평균노동생산성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노동투입량에 대한 산출량의 비율로 나타내는 물적 노동생산성지수와 노동투입량에 대한 부가가치비율로 나타내는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지수가 있다.물적 노동생산성지수는 노동투입에 대한 산출량(산업생산)의 상대적 비율로 정의되며, 생산의 효율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된다. 한편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지수는 임금결정 시 필요한.. 2019. 1. 12.
노동생산성 (Labor productivity)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노동생산성 (Labor productivity)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노동생산성 (Labor productivity)이란 노동자 한 명이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나 서비스의 양을 말한다 노동생산성 (Labor productivity) 상세 설명노동자 한 명이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나 서비스의 양을 말한다. 산업 단위에서는 '산업생산지수 / 노동시간'으로 측정한다. 국가 단위에서는 이 산업들을 산업의 비율별로 가중치를 주어 결정한다. ※ 노동생산성 (Labor productivity) 관련 뉴스https://www.google.com/search?q=노동생산성&newwindow=1&tbm=nws&source=lnms&sa=X&ved=0ahUKEwiNq_mUn9bfAhXVEnAKH.. 2019. 1. 11.
노동기본권 (Labor rights : 노동권,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이란?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노동기본권 (Labor rights)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노동기본권 (Labor rights)이란 근로자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헌법에서 정한 노동권(32조1항)과, 단결권〮 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33조1항)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노동기본권 (Labor rights) 상세 설명근로자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헌법에서 정한 노동권(32조1항)과, 단결권〮 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33조1항)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1) 노동권 : 노동권이란 근로능력과 의욕을 지닌 사람이 사회적으로 근로할 기회의 보장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2) 단결권 : 단결권이란 근로자가 근로조건을 유지, 개선하기 위해 단결할 수 있는 권리를말한다.3) 단체교섭권 : 단체교섭권이란 근로.. 2019. 1. 10.
노동경제학 (Labor Economics)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노동경제학 (Labor Economics)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노동경제학 (Labor Economics)이란 경제학의 한 분야로, 근로자, 기업, 정부의 선택에 따른 노동시장의 작동 원리를 분석하는 학문을 말한다 노동경제학 (Labor Economics) 상세 설명경제학의 한 분야로, 근로자, 기업, 정부의 선택에 따른 노동시장의 작동 원리를 분석하는 학문이다. 근로자의 노동 시간 및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 기업의 노동 수요 및 차별, 그리고 그에 따른 임금 결정 과정과 소득분배 등이 주요 연구 주제이며, 정부는 근로자와 기업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를 마련함으로써 노동시장에 영향을 미친다. 그 외에도 근로 조건, 직업 만족도와 같이 고용과 관련된 비금전적 요소들이나 노사관계 등.. 2019. 1. 9.
노동3법(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근로기준법)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노동3법(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근로기준법)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노동3법이란 노동관계 기본법인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근로기준법을 총칭한다. 노동3법 상세 설명 노동관계 기본법인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근로기준법을 총칭한다. 1) 노동조합법 노동조합법은 노동자가 단결해 단체교섭이나 기타 단체행동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하고 구체적으로 그것을 보장하는 방법 등을 규정한 법률이다. 2) 노동쟁의조정법 노동쟁의조정법은 노동쟁의를 공정하게 조정해 노사 간의 분규, 즉 노동쟁의를 예방 내지 해결함으로써 산업의 안정을 꾀하고 나아가 산업 및 경제의 안정적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됐다. 1963년 제정되었는데, 전문 8장으로 되어 있다. 집단적 노사관계는 단체협약에 의.. 2019. 1. 8.
기본 소득 (Basic Income) 제도란?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기본 소득 (Basic Income) 제도란? - 인구 · 고용 :: 시사경제용어 : 기본 소득 (Basic Income)이란 기본 소득이란 개인이 속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모든 구성원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지급하는 정기적 소득을 말한다 기본 소득 (Basic Income) 상세 설명기본 소득이란 개인이 속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모든 구성원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지급하는 정기적 소득이다. 기본 소득은 크게 보편성, 무조건성, 그리고 세수(稅收) 충당의 성격을 갖는다. 1) 보편성 : 보편성은 기본 소득을 수령하는 구성원의 나이 또는 소득의 크기 등 개인적 성격과 상관없이 국가가 모두에게 동일한 금액을 지원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기본 소득의 특성이다. 2) 무조건성 : 무조건성 역시 보편성과 맥락을 같이.. 2019. 1.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