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늘 방문수 어제 방문수 누적 방문수 무역 아이템 검색 최근 7일 통계 인기글 최근 댓글 선적 I 해상 운임/운임 I 정기선 추가운임6 [선적스케쥴] VSL VOY DOC CLS CGO CLS ETA ETD 용어 / 쉬핑스케쥴(Shipping schedule)/ 해운용어 / 선박 스케쥴 [선적스케쥴] VSL VOY DOC CLS CGO CLS ETD 용어 / 쉬핑스케쥴(Shipping schedule)/ 해운용어 / 선박 스케쥴 선적스케쥴 VSL VOY DOC CLS CGO CLS ETA ETD 1. VSL(Vessel) - 선박 : 선명(출항하는 선박의 명칭) 또는 번호를 나타낸다 2. VOY(VOYAGE) - 항차 : 선박의 운항 차수의 줄임말로 선박의 특정 항해 또는 항로를 나타낸다. 3. DOC CLS (DOCUMENT CLOSSING) - 서류 마감 일자 : 선사나 포워더에서 요구하는 서류의 최종 마감일자 또는 시간 4. CGO CLS (CARGO CLOSSING) - 화물 마감 일자 : 지정된 장소(CFS / CY)에 화물을 반입시켜야하는 최종 마감일자 또는 시간 5. ETA.. 2015. 10. 29. 선택항 추가운임(양륙항선택료) I Optional Charge :: 해상 정기선 운임의 구성요소 선택항 추가운임(양륙항선택료) I Optional Charge :: 해상 정기선 운임의 구성요소 Optional Charge (선택항 추가운임:양륙항선택료)운임은 해상 정기선 운임의 추가요금 중 하나로써, 선적시 양하항을 복수 선정하여 출발한 뒤 최초의 항구에 도착 전에 양하항을 지정할 경우 적부상의 문제 등을 감안, 추가로 부과하는 운임이다. * 운임구성요소 = 기본운임 + 할증료 + 추가요금 Optional Charge 선택항 추가운임추가운임 양륙항 양륙항선택료적부 할증료 운임구성 운임해상 정기선 정기선 정기선 운임 2014. 2. 4. 외항추가운임 I Outport Arbitrary (Outport Surcharge) :: 해상 운임의 구성요소 외항추가운임 I Outport Arbitrary (Outport Surcharge) :: 해상 운임의 구성요소 Outport Arbitrary ( Outport Surcharge) 외항추가운임은 해상 정기선 운임의 추가요금 중 하나로써, 물동량이 적은 항(Outport)에서는 직항서비스가 불가능하므로 전통(全通)운송으로 전통운임 (Through Freight)을 징수하고 최종 목적지까지의 수송을 인수하게 되는데, 해운동맹이 지정하는 정규의 기항항의 항(港)을 말한다. 해운동맹은 두 개의 정규의 기항항 사이의 운임을 기본운임율(Base Rate)으로 하고, 이 Outport에 기항하여 하역할 때에는 외항추가운임(Additional Charge ; Outport Surcharge)을 부과한다. 유럽계동맹에서.. 2014. 2. 4. 용적 및 장척 할증료 I Bulky/Lengthy Surcharge (추가운임) :: 해상 운임의 구성요소 -5 용적 및 장척 할증료 I Bulky/Lengthy Surcharge (추가운임) :: 해상 운임의 구성요소 -5 운임 구성요소 중 할증료의 하나로써, 정기선 운임에 있어서 화물의 부피가 너무 크거나 길이가 너무 긴 화물에 대해 부과하는 할증료이다. 즉, 화물 한 개의 용적 또는 길이가 어느 일정 한도 이상(예: 길이 35척 이상)인 것에 대해서는 중량 화물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하역작업상 특별한 불편을 준다는 등의 이유로 일정율의 할증을 부과하는 경우의 운임이다. 이는 화물의 한 개의 중량, 용적 및 길이 모두가 일정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 중에서 운임 산출액이 가장 큰 것을 적용하는 것이 보통인데, 두 개의 할증 방법을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 * 운임구성요소 = 기본운임 + 할증료 + 추가요금 .. 2014. 1. 15. 초과 중량 할증료 I Heavy Lift Surcharge (추가운임) :: 해상 정기선 운임의 구성요소 -4 초과 중량 할증료 I Heavy Lift Surcharge (추가운임) :: 해상 정기선 운임의 구성요소 -4 초과 중량 할증료는 해상 운임 구성요소의 할증료 중 하나로써, 정기선 운임시 화물 1개당 기준 무게를 초과한 경우 초과한 무게에 대한 할증비율을 산정하여 징수하는 할증료이다. 중량 화물은 Crane 등의 사용, 하역시간의 연장 등 추가비용이 들기 때문에 기본 운임 몇%의 비율로 할증이 붙는다. Heavy Lift Additional이라고도 부른다. 상기 표는 포크리프트(Forklift)가 Pallet(파레트)를 상하차 하는데 드는 할증료를 목적지에 따라 차등 부과함을 명시한 Heavy Lift Surcharge의 예시로 볼 수 있다. * 운임구성요소 = 기본운임 + 할증료 + 추가요금 Heavy.. 2014. 1. 14. Wharfage charge (추가운임 : 부두사용료 I 화물 입항료) :: 해상 운임의 구성요소 -1 Wharfage charge (추가요금 : 부두사용료 I 화물 입항료) :: 해상 운임의 구성요소 -1 Berth,잔교 부두를 통과하는 화물에 대해서 그 중량톤(Ton)수를 근거하여 부과하는 항만 사용료 중의 하나이다.수출시에는 보통 부두 사용료란 명목으로 징수하며 수입시에는 화물 입항료란 명목으로 부과된다. 화주(貨主)가 선주(또는 포워더)에게 납부하며 선주는 최종적으로 각 항만을 관리하는 항만 당국에 최종 납부를 하게 된다. 징수 대상 시설- 항만 수역 시설- 항만 임항 교통 시설- 화물 보관장 / 화물 처리장 등 해상 운임 구성요소 중 추가요금에 해당한다. wharfage Wharfage charge부두사용료 해상 운임 화물 입항료항만 수역 시설 항만 임항 교통 시설화물 보관장 화물 처리장 2014. 1. 13. 이전 1 다음 관세법인 관세법법령집 관세법 강의 국가법령정보센터 관세법요약 관세법령 관세법기출 내국소비세법 관세법책 관세법 관세법 해석 관세법동영상 관세법 위반사례 기획재정부 관세법 시행령 관세법교재 관세율 관세율표 관세사 관세법 용어 기획재정부령 관세법 시행규칙 관세법 위반 관세환급특례법 관세법개론 법제처 관세법해설 관세법 개정 관세청 관세법시행규칙 728x90 반응형